병원에서, 은행에서, 심지어 편의점에서도!
이제 실물 주민등록증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신분 확인이 가능해졌습니다.
기다리고 기다리던 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확대 발급이 시작됐다는 소식!
이제 더 이상 "아, 신분증 안 가져왔네…" 하며 당황할 필요 없겠죠?
사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처음 도입된 건 작년이었지만, 일부 지역에서만 시범 운영되다 보니 "대체 언제 전국으로 확대되는 거야?" 하며 애타게 기다린 분들도 많았을 거예요.
그런데 드디어 3월 14일부터 전국 모든 주민센터와 '정부24'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할 수 있게 됐습니다! 🎉
그렇다면 모바일 주민등록증, 어떻게 신청하고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?
발급 방법부터 사용처, 유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모바일 주민등록증이란?
- 본인 휴대전화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디지털 주민등록증
-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
- 17세 이상,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사람이 신청 가능
-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(QR코드 방식)
✔ 방문 신청 (즉시 발급 가능!)
1️⃣ 가까운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
2️⃣ 모바일 주민등록증 신청서 작성 및 제출
3️⃣ 본인 확인 후 1회용 발급 QR코드 제공
4️⃣ '모바일 신분증' 앱 설치 및 QR코드 촬영
5️⃣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완료!
📌 주의!
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앱을 삭제하면 주민센터를 재방문해서 QR코드를 다시 받아야 해요.
IC칩 주민등록증을 활용한 발급 방법 (비대면 가능)
✔ 실물 IC칩 주민등록증이 있다면?
1️⃣ 주민센터 또는 '정부24'에서 IC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
2️⃣ 2주 후 주민센터에서 IC 주민등록증 수령
3️⃣ '모바일 신분증' 앱에서 IC 주민등록증 태깅 & 본인 인증
4️⃣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완료!
📌 장점!
- 휴대전화 변경 시에도 주민센터 방문 없이 재발급 가능!
-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은 기존 플라스틱 카드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
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가능 장소
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?
📍 은행 : 계좌 개설, 대출, 이체한도 변경 등
📍 공항 : 국내선 탑승 시 신분 확인
📍 관공서 : 주민센터, 구청 등 행정 업무 처리
📍 병원 : 건강보험 적용 진료 시 본인 확인
📍 편의점 : 성인 인증 시 신분 확인
📍 선거 : 투표소에서 본인 확인
앞으로는 지갑 없이 스마트폰만 들고 다녀도 신분증 인증이 가능하다는 것!
디지털 시대에 딱 맞는 편리한 서비스 아닐까요? 😃
모바일 주민등록증, 이것이 궁금해요!
💡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으면 기존 주민등록증은 안 써도 되나요?
아닙니다!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지만, 일부 기관에서는 실물 신분증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.
특히, 해외 출입국 심사나 특정 신원 확인 절차에서는 실물 신분증이 필수일 수 있으니 모바일과 실물 신분증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💡 스마트폰을 바꾸거나 분실하면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어떻게 되나요?
스마트폰을 바꾸거나 초기화하면 모바일 주민등록증도 함께 삭제됩니다.
📌 QR코드 방식으로 발급받은 경우 : 다시 주민센터를 방문해 발급받아야 합니다.
📌 IC 주민등록증을 활용한 경우 : 새 휴대전화에서 다시 태깅하면 재발급이 가능합니다.
📌 스마트폰 분실 시 : 통신사에 분실 신고하면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즉시 잠금 처리되어 악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모바일 주민등록증, 더 편리하게 활용하려면?
스마트폰에 발급된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이제 '삼성월렛' 같은 민간 앱에서도 활용될 예정입니다!
올해 4월부터 국민은행, 네이버, 카카오뱅크, 토스 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 하니, 앞으로는 더 많은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? 😃
이뿐만이 아닙니다!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블록체인, 암호화 등 최첨단 보안 기술을 적용해 신원 도용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게다가 생체인증(지문, 얼굴 인식)까지 추가되니 더욱 신뢰도가 높아진다는 점!